연구실적
-
2009.07
| 제1/교신저자
| JOURNAL OF PALEOLIMNOLOGY, 제42권, pp.1-10
Holocene paleoclimate changes determined using diatom assemblages from Lake Long,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2006.09
| 공동저자
| POLISH POLAR RESEARCH, 제27권 3호, pp.189-206
Reconstruction of postglacial paleoproductivity in Long Lake, King George Island, West Antarctica -
2004.06.01
| 공동저자
| ALGAE, 제19권 2호, pp.107-114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II. The colonization of epilithic algae on artificial substrata (tiles) at mesocosm -
2004.06.01
| 공동저자
| ALGAE, 제19권 2호, pp.115-122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III. The epilithic algal community after the experimental acidification on the artificial substrata (tiles) at mesocosm. -
2003.12.01
| 공동저자
| ALGAE, 제18권 4호, pp.263-272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I. The lsit of phytopalnkton and periphyton -
2002.09.01
| 35권호, pp.145-151
pH 충격에 의한 Chlamydomonas acidophila(Chlorophyta), UTCC 122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
2002.06.01
| 35권호, pp.103-110
임진강 수역의 자연 하적호 장좌못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
2002.06.01
| 한국육수학회지 35권호, pp.141-144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
2002.03.01
| 20권호, pp.85-90
수계종속 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세포의 효소의 변화에 미치는 산성화의 영향 -
2002.03.01
| 20권호, pp.91-99
철원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V. 경안천(팔당호)과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의 계절 변동 -
2002.02.01
| 35권호, pp.111-122
임진강 수계의 식물플랑큰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
2001.11.27
| 16권호, pp.369-378
한국산 돌말류 담수 대바늘돌말속(Genus Synedra) 식물에 대한 분류, 형태학적 연구 -
2000.03.01
| 한국육수학회지 제33호, pp.38-50
전남 광양의 수어천 수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군집의 계절적 변화 -
1999.12.01
| 한국육수학회지 32권4호, pp.319-330
섬진강 중류 수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군집의 계절적 변화 -
1998.12.01
| 13권호, pp.461-466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Ⅳ. The Establishment of Periphytic algae on Artificial substrate at Mesocosm -
1997.09.30
| 30(3)호, pp.253-279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III. Epipelic algae -
1997.09.30
| 11(3)호, pp.277-283
A study on the phytoplankton in the Paldang Dam Reservoir. III. The changes of diatom community structure -
1996.04.30
| 29(3)호, pp.241-246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II.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계절적 변화 -
1995.12.31
| 28(4)호, pp.487-495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1. Net로 제작된 Mesocosm에 대한 현장시험 -
1995.08.31
| 10(보호, pp.91-118
한국산 돌말류(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Ⅲ. 용어의 한국명화 -
1995.08.31
| 10(보호, pp.13-89
한국산 돌말류(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Ⅱ. 출현목록 -
1995.08.31
| 10(보호, pp.1-11
한국산 돌말류(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I. 분류체계와 분류계급 한국명화 -
1994.06.01
한강수계의 우점종인 규조류 Aulacoseria속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1991.01.01
| 6권2호
담수에 출현하는 한국산 Amphora에 대한 검토 -
1990.12.01
무주 설천면의 반딧불과 그 먹이(다슬기)서식지의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과 부착성 규조류 -
1990.12.01
| 70권호
무주 설천면 일원의 반딧불과 그 먹이(다슬기) 서식지의 실태조사 보고 -
1990.06.01
| 5권2호
한국산 화석규조류의 목록 -
1989.06.01
| 4권2호
Studies on Freshwater Anphora Species. IV. The Amphora epiphytic on other diatoms. -
1989.03.01
| 4권1호
Studies on Freshwater Amphora Species. III. Amphora pediculus(Kutz.)Grun. and some possibly related forms. -
1988.06.01
| 3권2호
Studies on Freshwater Amphora Species. II. Amphora copulata(Kutz.) Schoeman & Archibald. -
1988.03.01
| 3권1호
한국산 담수 규조류의 목록 -
1987.06.01
| 2권2호
Studies on Freshwater Amphora Species. I. Amphora ovalis. -
1987.06.01
| 5권2호
양양 남대천 수역의 식물플랑크톤 -
1985.12.01
| 17권호
팔당댐 담수지역의 식물성 플랑크톤 -
1985.12.01
미세구조에 의한 담수산 우상규조류의 분류체계 -
1984.12.01
한국산 담수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개관 -
1984.12.01
| 9권호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보(제10보) 한강 중류산 규조류의 분포 -
1983.12.01
| 14권호
한강 중심수역의 규조류에 대한 계절적 소장과 분포에 따른 상관 관계 -
1983.02.28
한강 중류산 우상규조류의 분류학적 연구 -
1982.03.01
| 한국육수학회지 15권1호
오대천의 식물성 플랑크톤 -
1981.12.01
| 3권호
팔당댐 수역을 중심으로한 식물성플랑크톤의 현종량과 생산력 -
1981.12.01
| 3권호
규조류의 분류체계에 대한 소고 -
1979.01.01
| 22권4호
금강 공주부근 수역의 식물성 플랑크톤 -
1978.12.01
| 3권호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9보) 팔당댐 담수수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류와 환경요인 -
1977.09.01
| 20권3호
인천항 선거내 식물성 플랑크톤의 추계동태에 대하여 -
1975.09.01
| 18권3호
장자못의 부영향화에 관하여 -
1975.08.31
동계 정체기에 있어서 장자못의 생태학적 요인에 관하여
-
2010.04
| 공동
| 환셩부 국립생물자원관
대바늘돌말속. 한국의 조류(Algae). 제 3권 2호. 담수산 돌말류 II. 황갈조식물문: 돌말강: 깃돌말목: 헛등줄돌말아목: 막돌말과 -
2010.04
| 공동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Synedra. Algal Flora of Korea. Vol. 3, Nr. 2. Chrysophyta: Bacillariophyceae: Pennales: Araphidineae: Diatomaceae. Freshwater Diatoms II Algal Flora of Korea. Vol. 3, Nr. 2. Chrysophyta: Bacillariophyceae: Pennales: Araphidineae: Diatomaceae. Freshwater Diatoms II -
2004.02.01
| 공동
| 광림사
생명과학 -
1994.04.01
| 민음사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수생 하등식물. -
1986.12.01
| 아카데미서적
담수규조류 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