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교수진

명예교수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학과명,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조도순(Cho, Do-Soon) 프로필 이미지

조도순 명예교수

Cho, Do-Soon

연구분야

식물생태학

연구키워드

식물군집생태학 교란 생물다양성 보전

교수소개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자연적 교란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왔다. 유네스코의 국제보호지역을 통한 자연보전에 참여해왔다. 2021년부터 3년간 국립생태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유네스코 MAB프로그램의 국제조정이사회 부의장과 유네스코 MAB한국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 received my Ph.D. degreee from the Ohio State University. I have studied the effects of natural disturbance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 I have participated in the nature conserv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protected areas of UNESCO. I worked as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for 3 years since 2021. Currently I am working as vice-chair of the ICC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of UNESCO MAB (Man and Biosphere Program) and chair of MAB National Committee of Republic of Korea.  

최종학력

1989.08.31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식물학과 | 이학박사

연구실적

  • 2019.03 | 단독 | 문화재, 제52권 1호, pp.272-287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 2012.06 | 교신저자 | 환경생물(구:한국환경생물학회지), 제30권 2호, pp.90-97
    한국 특산식물 변산바람꽃 자생지의 환경 특성과 식생
  • 2011.06 | 교신저자 | 한국생태학회지(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제34권 2호, pp.157-165
    Gap characteristics and natural regeneration in Mt. Makiling rainforest, the Philippines
  • 2008.11 | 교신저자 | JOURNAL OF PLANT BIOLOGY, 제51권, pp.387-394
    Ecological Role of Mountain Ridges in and around Gwangneung Royal Tomb Forest in Central Korea
  • 2007.12.31 | 교신저자 | 자연과학논문집, 제28권, pp.131-148
    점봉산 낙엽활엽수림의 숲틈 동태
  • 2001.04.01 | 24권2호, pp.111-116
    Vegetation Analysis Along Elevational and Topographical Gradients in Mt. Jumbong in Central Korea
  • 2000.12.01 | 제23호, pp.445-452
    Effects of Fertilizer and Sewage Sludge Treatment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Woody Plants in Metal Mine Tailings
  • 2000.06.01 | Vol.호, pp.241-253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포와 상관분석
  • 2000.06.01 | Vol.호, pp.255-266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의 공간 이질성이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 1999.12.01 | 22-6호, pp.355-361
    Population Dynamics of Quercus mongolica in Mt. Jumbong
  • 1999.08.01 | 22-4호, pp.197-203
    Growth Responses of Trees to Canopy Gaps in a Deciduous Hardwood Forest
  • 1999.08.01 | 22-4호, pp.211-217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l Vegetation along Microtopographic Gradients Formed by Disturbance in a Temperate Deciduous Hardwood Forest
  • 1998.12.01 | 19권호, pp.211-220
    가톨릭대학교 연습림의 식생 구조
  • 1998.12.01 | 19권호, pp.199-210
    춘계단명식물의 생장과 노쇠에 관한 연구
  • 1997.12.01 | 20(6)호, pp.451-459
    Distribution of stream-edge vegetation in the Balan Stream as related to soil environments
  • 1996.04.30 | 19(2)호, pp.125-13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seedlings among three oak species
  • 1996.02.28 | 19(1)호, pp.71-80
    인공산성비가 돌피와 바랭이의 생장과 경쟁에 미치는 효과
  • 1995.10.01 | 120권호, pp.173-183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canopy history of two Ohio old-growth forests
  • 1995.03.01 | 18권1호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관한 연구
  • 1995.03.01 | 18권1호, pp.55-62
    경안천에서 하천변 식생의 분포에 관한 연구
  • 1994.12.01 | 17권4호, pp.415-424
    Community structure, and size and age distribution of conifers in subalpine Korea fir(Abies koreana) forest in Mt. Chiri
  • 1993.09.01 | 14권호
    Management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in Korea
  • 1993.01.01
    광릉 자연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수목의 재생
  • 1992.01.01
    도서 생물지리설의 원리를 이용한 자연보존-자연보존78/90 삼림생태계에서의 교란과 그 역할
  • 1991.01.01 | 12호
    Structure,Dynamics,and Composition of Sears Woods and Carmean Woods State Nature Preserves,Northcen Canopy disturbance patterns and regeneration of quercus species in two ohio oldgrowth forest
  • 1991.01.01 | 12호
    도서 생물지리학설과 자연보존
  • 2019.03 | 공동 | 라이프사이언스
    생명과학 : 이론과 응용
  • 2017.08 | 공동 | (주)바이오사이언스출판
    환경과학
  • 2014.06 | 공동 | 교보문고
    Ecology: Global Insights and Investigations
  • 2013.12 | 공동 | Wisdomhouse Publishing
    Whispers of the DMZ
  • 2012.09 | 공동 | 라이프사이언스
    생태학: 자연의 경제학
  • 2012.08 | 공동 | 한국보호지역포럼
    자연의 해법
  • 2012.03 | 공동 | 라이프사이언스
    생명과학
  • 2010.01 | 공동 | IUCN-WCPA
    Natural Solutions: Protected areas helping people cope with climate change
  • 2010.01 | 공동 | IUCN-WCPA
    Natural Solutions; Protected areas helping people cope with climate change
  • 2009.12 | 공동 | 한국보호지역포럼
    새로운 시대의 자연보전
  • 2008.12.31 | 공동 | Korea Proteced Areas Forum
    Natural Protected Areas of Republic of Korea
  • 2007.12.31 | 공동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동해상 한국령 도서와 일본령 도서의 식물지리 분석
  • 2004.02.01 | 공동 | 녹문당
    기초생명과학
  • 2002.08.01 | 국제생태학회
    Proceedings of the 8th INTECOL International Congess of Ecology
  • 1997.03.10 | 교문사
    현대생태학실험서
  • 1996.12.28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개발과 유산의 보존
  • 1994.10.01 | 민음사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생물자원의 보존,연구 및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전략